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4.12.09.) 중앙일보 오피니언 📰 누구를 믿을 것인가
    신문스크랩/오피니언 2024. 12. 10. 22:59
    반응형

    🔸신문: 중앙일보
    🔸일시: 2024년 12월 9일
    🔸지면: 26면
    🔸제목: 누구를 믿을 것인가

     

     밤하늘을 쳐다보면 아름다운 것도 많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멋진 것은 유성, 순우리말로 별똥별이다. 우주 공간에서 떠다니던 돌덩이가 지구의 중력에 끌려서 떨어지면서 공기와의 마찰로 뜨거워져서 불타게 된다. 그렇게 빛을 내면서 밤하늘에 휙 금을 긋고 나서 다 타버리면 사라진다. 그런데 그런 돌덩이가 좀 클 경우 다 타지 않고 남은 부분이 지구상에 추락하는 운석이 된다. 큰 운석은 분화구 모양으로 지구 표면을 흠집 내기도 하고, 먼 옛날에 거대한 운석이 떨어져서 그 여파로 기후가 변하고 공룡 및 많은 생물을 멸종시켰다는 것이 이제는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운석도 과거엔 미신이라 여겨
    연구·분석의 결과로 믿음 생겨
    과학지식도 사회적 신뢰에 바탕
    정직은 학문과 사회의 공통 기반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공개한 지구 사진. 여러 인공위성이 찍은 부분 사진들을 조합했다. [사진 NASA]



     

    운석 부정한 18세기 과학자들
     그런데 유럽의 과학자들은 18세기 말까지 운석의 존재를 부정했다고 한다. 하늘에서 돌이 떨어진다는 것은 말도 안 되며, 무지몽매한 사람들이 믿는 미신이라고 일축했다. 운석이 떨어졌다는 보고는 수천 년간 꾸준히 있었는데 많은 사람은 그것이 무슨 신비로운 징조라고들 생각했다. 그러나 진지한 과학자들은 우주 공간은 진공상태이며 거기서 지구로 떨어질 물건은 있을 수 없다고 하였다. 설명이 안 되니까 현상 자체를 부정한 것이다. 그런데 1803년도에 특수한 사건이 벌어졌다. 프랑스 북부 노르망디 지방에 운석이 떨어졌는데, 그 덩치가 컸을 뿐 아니라 떨어지면서 산산조각이 나서 무려 3000여 조각이 추락했다. 이 사건을 그 지역 주민 대부분이 목격했고, 그게 다 환각이거나 거짓말이라고 하기는 힘들었다. 그 미스터리를 풀고자 등장한 것이 저명한 물리학자 비오였다. 비오는 떨어진 운석 조각들을 모아서 그 성분을 분석하고, 여러 목격자를 인터뷰했다. 분석해 본 운석의 성분은 그 지역에 있는 돌이나 광물질과 전혀 달랐으며, 그 반면 그 전에 다른 지역에 떨어졌던 운석과 비슷했다. 또 비오는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입을 모아 똑같은 사건을 목격했다고 진술하는 것을 무시하는 것은 비이성적인 일이라고 동료 과학자들을 설득하였다. 대부분의 과학자는 자신들이 실제로 운석이 떨어지는 것을 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믿지 않을 자신이 있었는데, 비오와 같은 명망 있는 학자가 간접적으로라도 경험하고 연구한 결과를 일축할 수는 없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과학자들은 운석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더 진지한 연구를 하기 시작했고, 결국 운석은 실존하며 우주에서 떨어진 것이라는 결론이 나오게 되었다.

     그러한 사례를 보면 과학 지식이라는 것도 사회적 신뢰에 기반을 두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남의 말을 하나도 믿지 않고 나의 경험에만 의존한다면 나의 지식은 참으로 변변찮게 될 것이다. 한 인간이 직접 해 볼 수 있는 경험이란 미미하기 때문이다. 의심이 많은 사람은 정말 믿지 않는 것이 많다. 미국은 1969년에 달나라에 처음으로 사람을 착륙시키는 큰일을 해냈지만, 그 국민 중에는 지금까지도 달나라 탐험은 다 정부에서 지어낸 거짓말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 필자는 얼마 전에 어떤 학회에 참석했다가 진짜로 이런 사람을 만나서 당혹했던 일이 있었다. 그분은 특히 국제 우주스테이션이 날조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런 거대하고 복잡한 구조물을 로켓으로 조각조각 가져다가 우주 공간에서 조립했다는 게 말이 되느냐는 것이었다. 물론 나도 그 과정을 직접 본 적은 없고, 잘 아는 사람들이 설명한 것을 믿을 뿐이다.

    둥근 지구를 믿지 않는 사람들
     의심하기 시작하면 끝이 없다. 요즘도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믿지 않는 사람들이 있다. 지구가 평평함을 증명하기 위해 복잡한 연구들도 하고, 자기들끼리 모여서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토의하는 학회도 한다. 그들은 세상이 원반형이라고 한다. 그 중심은 북극이고, 남극이란 없다. 우리가 남극이라 믿는 것은 원반형 세상의 둘레다. 그게 말이 안 된다고 화내는 당신은, 남극에 가 본 일이 있는가? 요즈음은 과학자들이 일상적으로 남극에 가지만, 그것은 남극 대륙의 해변에 가는 것이지 대부분 내륙으로 깊이 들어가지 않으며 정말 남극점까지 가 본 사람은 희귀하다. 그러나 일반 사람들은 자신이 직접 경험한 것이 아니라 해도 남극이 있다는 것을 믿는다. 믿을 만한 사람들이 그렇다고 하니까 믿는 것이다.

     그런데 어떤 사람을 믿을만하다 하는 것인가? 대개는 사회적 권위를 지닌 사람들을 믿는다. 어렸을 적에는 부모님, 학교 다닐 때는 선생님, 또 신문과 방송, 정부를 비롯한 모든 공공기관. 그런데 그러한 권위자들을 무조건 철썩 믿어서는 안 된다는 것은 독재정권하에서 살아 본 사람들은 너무나 잘 안다.

     누구를 믿고 누구를 의심해야 할지를 판단하는 것은 인간사회를 살아가는 데 가장 기본적인 요건이며 또한 책임 있는 개인의 의무이다. 그리고 개인들이 사사건건 매번 이러한 판단을 내리지 않아도 되도록 우리는 적합한 사회적 관습과 제도들을 만들어서 거기에 의존하며 살아간다. 그렇게 신뢰에 기반을 둔 사회생활의 근본은 물론 개인들의 정직성이다. 가끔 궁지에 몰렸을 때 거짓말을 해 보지 않은 사람은 없겠지만, 항상 서로 거짓말을 한다면 사회는 파괴된다. 과학자의 사회는 일반 사회보다도 더 정직성에 기반을 둔다. 과학자들이 서로에게 관측 결과나 실험 결과를 나온 그대로 보고하지 않는다면 과학이란 없다. 과학뿐 아니라 모든 학문의 근본은 정직함이다. 율곡 이이는 “학문이란 깜깜한 방에서도 속이지 않는 데서 시작된다”고 하였다. 정직과 신뢰는 학문과 사회의 공통된 기반이다.

    장하석 케임브리지대 교수 

     

    🔸기고: 장하석 케임브리지대 교수

    🔸출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8347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